소통의 어려움으로 소통하다 : 아르나우트 믹의 <카드보드지 벽>을 고찰하며

자연재해가 일어나면 사람들은 살던 곳을 잃는다. 그러기에 일시적/임시적으로 다른 데로 몸을 옮겨야만 한다. 혼자로 있게 되든 집단으로 한 장소에 머무르든, 사람들은 낯선 공간에서 마음을 안정시키려고 하며 살아갈 의지를 계속 가지려고 애쓴다. 본의 아니게 자리를 옮겨야만 했던 그들은 주거공간—비록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경우가 허다하지만—에서 프라이버시와 의사소통의 문제를 겪는다. 사실 피난처에서 겪는 이 두 문제는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집 아닌 공간에서 다른 사람의 시선을 받으면서 생활하는 공간은, 며칠 지내야 할지도 짐작 못하는 사람들에게 확실히 불편한 곳이다. 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은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 없이 지내는 일에 어려움 또한 느낀다. 소통의 공간에서 가족은 물론, 집을 나와서 길을 가다가 아는 사람을 우연히 마주 볼 때나 잠깐 옆집 아주머니와 대화를 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그런데 가족도 아닌 사람들—지인이든 처음 보는 사람이든—과 가깝게 지내게 되면, 내가 하는 이야기가 옆 가족까지 들리지 않을까, 잠꼬대가 모르는 사람한테 들리지 않을까… 등의 고민이 생긴다. 그리고 이는 거꾸로 나와 상관 없는 이야기가 들려온다는 상호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동북지방을 중심으로 2011년에 일어난 지진에서 사람들은 체육관이나 강당에서 집단적으로 생활하는 것을 강요 받았다. 피해가 거의 없었던 도쿄 혹은 그 위성도시로 내려온 사람들도 많았지만, 공공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방송망을 타고 충격적으로 들어왔다. 한 가정 당 주어진 공간은 너무 협소하여 어수선하기까지 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프라이버시 문제와 소통의 문제 사이에 갈등을 겪는다. 사적인 부분을 유지할 필요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폐쇄되어버려서는 안 되는 갈등. 사생활의 공간과 소통의 틈 사이에 놓인 것, 그것이야 말로 종이로 생산되며—어쩌면 허약해 보이기도 하나—실제로는 아주 튼튼한 카드보드지로 된 벽이었다.

 마치 그 장면을 그대로 가져온 것처럼 아르나우트 믹(Aernout Mik)의 작업은 인상적이다. <카드보드지 벽 Cardboard Walls>(2013)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그의 작업은 영상과 피난처를 연상시키는 건축적 구조로 이루어진다. 카드보드지로 된 설치는 마치 미로처럼 되어있으며 유사공간의 구축으로 볼 수 있다. 관람객은 두 개의 무음으로 상영되는 영상에서, 지진의 피해를 받아 체육관에서 할 수 없이 생활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이 영상은 실제로 피난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출연시켜 동북지방 후쿠시마 현에서 촬영되었다. 카드보드지로 나누어진 공간에 사람들이 생활하는 장면이 영상에 나온다. 거기에 작업복을 입은 몇몇 사람들이 와서 주민들에게 사과하는 장면이 그려진다. 그런데 음소거 효과 때문에 정작 보는 사람들에게는 그들이 무슨 내용으로 말하고 대화를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그들이 말하는 척하는 연기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제거되면서 주어진 대사와 즉흥적인 대사는 구분이 모호해진다.

 소리도 없이 자막도 없이 재생되는 점은 믹의 다른 작품—예를 들어 <스쿨야드 Schoolyard>(2009), <아이스크림 고지 Ice Cream Hill>(2014-2015)—에도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그는 종종 통제되지 못하는 사건의 진행과정을 주제로 삼으며 전술한 작업 또한 이 부분에서 <카드보드지 벽>과 공통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관람객은 처음에 영화 혹은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이 무슨 내용인지 알려고 하지만, 이는 음소거의 효과 때문에 내용으로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즉 서사와의 소통이 단절되는 것이다. 말로 된 대화 없이 진행되는 이야기를, 우리는 마치 거기서 귀머거리가 된 것과도 같이 서서 볼 수밖에 없다.

 영상을 계속 보면, 공간을 나누는 벽이 마치 도미노 놀이 하듯 잇따라 쓰러지는 장면이 나온다. 그 장면은 마치 해일이 자연현상인 것처럼 자연스러운 사람의 심리상태의 반영으로 보인다. 피폐가 극도로 달한 그 모습은 그 동안 자신이 삶을 가두던 카드보드지의 벽이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행복한 결말이 아닌 것처럼 사람들은 허공을 쳐다보고 있다. 만약 믹이 피난처로 직접 가서 보도사진처럼 사진을 찍었었다면, 관람객이 받는 인상은 또 달랐을 것이다. 사진을 찍은 것을 보면 아마도 피사체에 감정이입을 하거나 피사체 밖의 책임자를 탓하는 분노가 치밀어 올랐을 것이다. 그런데 그의 영상작업은 소리 없이 재생됨으로써 관객과 작품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든다. 그리고 거기서 얻는 불편함은 미적 대상으로 승화되는 장면이 아니라, 바로 그곳에서 느껴질 현실의 불편함이다.

 지진 일어난 이후, 많은 예술가나 이론가가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도쿄 국립근대미술관의 학예연구실장 쿠라야 미카(蔵屋美香)는 레비-스트로스의 브리콜라쥬의 개념을 가지고, 조각가 오오마키 신지(大巻伸嗣)는 지역 사람들이 모이는 하나의 계기로서 자신의 작업을 가지고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토 토요오(伊東豊雄)는 모더니즘 건축의 기능성에 의문을 가지고 어른들이 쉬거나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용도의 집을 세웠다. 믹의 <카드보드지 벽>은 언뜻 보기에 어떤 대책이나 방안제시를 못했다고 느껴진다. 그런데 그의 작업에서 우리는 현장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느낄 수 있다. 원활한 소통—이웃 주민들과, 그리고 전기회사 책임자와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장에서 분출되는 답답함과 심리적 피폐를, 작품으로 하여금 보는 자와 소통이 어렵게 함으로써 그것을 느끼게 해준다.

<사진출처> [http://bakonline.org/en/Research/Itineraries/FutureVocabularies/Survival/CardboardWalls]

<참고자료>
실비아 마르틴, 한혜영 역, 『비디오아트』 마로니에 북스, 2010

ART iT 인터뷰(일어) : http://www.art-it.asia/u/admin_ed_feature/S0LgtIXEcz3vao1GVij9/ (2011.09.22)
http://www.art-it.asia/u/admin_ed_feature/sHicygwGdjM1IPlBYhpU/?lang=ja (2011.10.12)
아르나우트 믹, 아티스트 토크 (2015.08.25, 아트선재센터, 전시《아르나우트 믹: 평행성(Parallelities) Aernout Mik: Parallelities》(2015.08.29-2015.11.29)와 연계)
모리미술관 MAM 스크린003 (2016.03.26-07.10) 리플렛
MMCA 전시를 말하다: 3.11 지진이후 일본사회와 예술 <올해의 작가상 2016> (미카 쿠라야, 2016.10.12)

editor Yuki Kon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