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ractions

Refractions

2015_1120 – 2015_1220 / 월,화,경륜휴장일 휴관

스피돔포스터

초대일시 / 2015_1120_금요일_05:00pm

참여작가 / 고경호_강덕봉_김수지_김혜수_박가연_박정선_박지나_박천호_신승연_심승욱_이대철_이봉식_이충현_임동열_최민규_최현재_한지현

주최,후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정사업본부

관람시간 / 10:00am~05:00pm / 금~일요일_11:00am~06:40pm / 월,화,경륜휴장일 휴관

스피돔 갤러리SPEEDOM GALLERY경기도 광명시 광명로 721(광명6동 780번지)광명돔경륜장 4층Tel. +82.2.2067.5488 www.krace.or.kr

굴절된 굴절의 기록 ● 2011년 『화이트리뷰(The White Review)』지와의 인터뷰에서 엘름그린 & 드락셋(Elmgreen & Dragset)은 미술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혹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지, 아니면 그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만일 우리가 ‘세계 혁명’ 같은 걸 추구한다면 예술이 아닌 다른 수단을 택하는 편이 더 현명할 것이다. 예술이 초래하는 결과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효율성과 결과에 눈에 먼 이 세상에서, 예술은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정은주 역, 화이트리뷰, 『예술가의 항해술』, 유어마인드)

2015112002b
고경호_reflection-museum_혼합재료_98×76cm_2009
2015112003b
강덕봉_Disguise 9_PVC 파이프, 우레탄 페인트_30×100×5.5cm_2011
2015112004b
김수지_순수 기억 이미지_피그먼트 프린트_34×52cm×2_2015
2015112005b
김혜수_Outbreak_구리선, 아크릴채색, 오일바_118.5×82.5cm_2015

2010년대의 첫 아트 바젤을 갈무리하는 기사에서 뉴욕타임스는 미국인 콜렉터 도널드 루벨(Donald Rubell)의 말을 전하며 “사람들이 이제 미술이 국제화폐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선언한 바 있지만, 본 전시장 내에서 쉽사리 오해의 소지가 될만한 그 “직접적인 효과”의 맥락과는 조금 빗겨난 지점에 서 있는 본 전시의 참여 작가들에게 있어 (현대)미술이라는 화폐의 가치는 그 기록의 성격에 기인한다. 정보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미술 생산 과정에 내재된 기록의 기능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고, 전통적인 전시의 형식으로든 인터넷 상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든 오늘날 기록물로서의 미술품은 예전과는 전혀 다른 속도로 유통되고 순환된다.

2015112006b
박가연_Portrait_피그먼트 프린트, 케미글라스에 페이스 마운트_50×89cm_2014
2015112007b
박정선_한발로 서기 Standing with 1 leg_유리, 브론즈_42×34×19cm_2015
2015112008b
박지나_허공, 못 끝에서 벌어지다_피그먼트 프린트_150×100cm_2012
박지나_빗방울은 물이 없는 곳에서 생겨났다_피그먼트 프린트_150×100cm_2013
2015112009b
박천호_구속_아크릴채색, 튜브_70×50cm_2015

이미지가 확산되는 속도가 인터넷 문화의 발달 등을 업고 유례없는 가속을 밟으며 현대미술은 흡사 에스엔에스의 타임라인과 같이 “한번 흘러 버리고 마는” 모습으로 발전하고있다. 범람하는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최근 서울 현대미술의 한 축은 그 타임라인의 특정 순간을 고정시켜 실재화, 내지는 물리적 전시로 구현해내면서 새로운 활기를 띠었다. 굳이 물리적인 전시공간 안으로 호출해내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화면 속에서 제 생을 굳건히 꾸려나가는 듯 보이던 오늘날의 이미지들이지만, 오늘날 각 전시공간이 그 안의 전시물에 끼치는 영향은 더욱 커졌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납작한 화면 속의 평평함과 실제 공간 속의 입체감이 낳는 낙차는 각 공간의 개별 성격에 따라 관람객에게 전혀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특히나 속도의 경기가 벌어지는 본 공간 안에서 그 빠른 흐름에 호흡을 맞춰 온 관객들은 일시적으로나마 고정돼있는 미술작품을 보면서 더 큰 생소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2015112010b
신승연_sound wave_PLA, 3D 프린트_15×40×50cm_2015
2015112011b
심승욱_Black Landscape_람다 프린트_53.5×212.5cm_2012
2015112012b
이대철_There is no indescribable moment_스틸에 채색_85×83×42cm_2015
2015112013b
이봉식_아니, 새로운 시작_나무, 텍스트 프린트_28×60×3cm_2015

본 전시에는 다양한 나이대의 작가가 모여 저마다의 매체를 이용해 각자의 세상을 기록한 개별 기록물을 선보인다. 변화의 속도가 유난히 빠른 한국에서 이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맞이해왔고 그것을 성실히 기록해왔다. 같은 시공간을 경험할지언정 각 개인이 체감하는 풍경과 그 기록은 각자의 위치, 감각, 사용매체 등에 의해 굴절되기 마련이다.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는 다양한 배경의 작가군이 모인 만큼 그 굴절각의 차이는 더욱 도드라져 보일 것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 독특한 전시 공간 안으로 들어 오면서 겪은 공통의 굴절을 통해 각 개별성을 넘은 기시감을 선보이기도 한다. ■ 박은아

2015112014b
이충현_이미지 16장, 피그먼트 프린트, 피그먼트 펜_120×270cm_2015
2015112015b
임동열_Machinimal Science Art Lap_레진, 세라믹, 플라스틱 클레이, 스티로폼, 철프레임, 라텍스, 알루미늄 와이어_85×140×90cm_2015
2015112016b
최민규_permeate structureⅡ_폴리카보네이트, 스틸, 나무, 거울, 볼트, 너트_15×120×30cm_2015
2015112017b
최현재_untitled_혼합재료_110×1800cm_2014_부분
2015112018b
한지현_Untitled#4(landscape)_피그먼트 프린트_가변크기_2015

The Refracted Documentation of Refractions ● In an interview with The White Review in 2011, Elmgreen & Dragset answered to the question of what it is that they seek to achieve through art as follows: “We question the world around us, and hope that other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same questions, or are at least a little inspired to pose their own. If we were after a ‘world revolution’ it would be wiser to choose a different medium than art. Art cannot be measured by its outcome. Its lack of direct effect is what makes it urgent in this world that is so focused on efficiency and results.” ● Summing up the first Art Basel of the 2010s, The New York Times had declared through the words of an American collector Donald Rubell that “people are now realizing that art is an international currency”. However, for the artists of this exhibition that stand outside the context of the “direct effect” that very easily falls under miscomprehension in this exhibition venue, the value of the currency called (contemporary) art lies in its nature of documentation. The documenting function inherent in art produc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information era and whether through the traditional form of exhibitions or image files on the Internet, art as a documentation is today distributed and circulated at a velocity very different from before. ● The speed at which images are proliferated has accelerated to the extrem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culture, and contemporary art develops as the timelines of SNS that transiently flows away. In the flooding supply of images, Seoul’s contemporary art has found new vigor in fixing certain moments of that timeline and realizing them as physical exhibitions. While today’s images had seemed to find solid lives of their own within the screens of smartphones and tablets without being summoned into physical exhibition venues, the recent events had been a wakeup call that the influence of each exhibition space on its exhibited goods has in fact become greater. The explicit difference between the 2D of flat screens and the 3D of real spaces present the audience novel experiences that are varied accordingly to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each space. Especially inside this space that hosts games and races of speed, the audience that had paced themselves to the vast velocity will feel a even greater unfamiliarity in front of the art pieces that have been temporarily frozen. ● In this exhibition, artists of various ages present their individual documentations of the world that they have captured through each medium of choice. In a country where change happens at a peculiarly fast speed, they have constantly confronted new scenes and have diligently documented them. Even within a same time and space frame, the scenery that each individual experiences and its resulting documents are bound to be refracted by each individual’s position, sensation, and medium. In this gathering of artists from various backgrounds using various media,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on angles will be ever more accentuat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refraction that the art pieces have all experienced when entering this peculiar exhibition venue presents a common sense of déjà vu that transcends all individuality. ■ Eunah Park

출처
네오룩
http://www.neolook.com